맨위로가기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 인민 해방군(PLAN) 간의 군사적 충돌을 포함하는 복잡한 분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 전쟁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나미비아가 국제 연맹 위임 통치를 받으면서 시작되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이 지역을 병합하려는 시도와 SWAPO를 중심으로 한 나미비아 민족주의 운동의 반발로 이어졌다. 냉전 시기에 소련의 지원을 받은 SWAPO는 게릴라전을 시작했고, 앙골라 내전과 연계되어 쿠바,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등 여러 국가가 개입하는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국경 지역에서의 군사적 충돌이 격화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앙골라 내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PLAN과 쿠바군을 공격했다. 1988년 삼자 협정을 통해 앙골라에서 쿠바군이 철수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나미비아의 독립을 인정하면서 전쟁은 종결되었고, 1990년 나미비아가 독립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앙골라 관계 - 앙골라 내전
    앙골라 내전은 1975년부터 2002년까지 앙골라에서 벌어진 권력 다툼과 냉전 시대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발생한 장기간의 내전으로, 독립을 둘러싼 갈등과 민족적 분열, 그리고 냉전의 대리 전쟁 양상이 주요 원인이 되어 수많은 사상자와 피해를 남겼다.
  • 나미비아가 참전한 전쟁 - 제2차 콩고 전쟁
    제2차 콩고 전쟁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생한 무력 분쟁으로, 외세 개입, 민족 갈등, 자원 쟁탈이 원인이 되어 국제적인 분쟁으로 확대되었으며, 500만~6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쟁 중 하나이다.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개요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몽타주
"시계 방향으로 왼쪽 위부터: 남아프리카 해병대가 1984년 카프리비 회랑에서 작전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남아프리카 방위군 순찰대가 PLAN 반군을 찾기 위해 '컷라인'을 수색한다; 1988년 남아프리카 방위군에 의해 나포된 FAPLA MiG-21bis; 남아프리카 방위군 장갑차가 사바나 작전 동안 앙골라로 진입하기 위해 준비한다; UNTAG 평화유지군이 1989년 나미비아 선거 이전에 배치된다; 1975년 후반 남아프리카 방위군 매복으로 파괴된 FAPLA 간부 차량."
시기1966년 8월 26일 – 1990년 1월 15일
장소남서아프리카 (나미비아), 앙골라, 잠비아
결과군사적 교착 상태
교전 세력
교전국 1 남아프리카 공화국
교전국 2SWAPO (PLAN)* MPLA (FAPLA)* * SWANU* ANC (MK)*
군사 고문 및 조종사
지휘관 및 지도자
남아프리카 공화국헤릿 빌joen* 윌리 반 니에케르크* 루이 피에나르* B. J. 보르스터* P. W. 보타* F. W. 데 클레르크* 콘스탄트 빌joen* 요하네스 겔덴휘스* 마그누스 말란* 안드레아스 리벤버그* 헤오르크 메이링* 코르넬리우스 은조바* 조나스 사빔비* 홀덴 로베르토}}
상대 진영삼 누조마* 토비아스 하이니에코* 피터 나니엠바* 디모 하마암보* 피터 므웨시항게* 솔로몬 후왈라* 아고스티뇨 네토* 호세 에두아르도 도스 산토스}}* 안토니오 프랑사* 이코 카레이라* 피델 카스트로}}
병력 규모
남아프리카 공화국 측 (1988년)약 71,000명
남아프리카 공화국30,743명의 남아프리카 방위군 병력이 앙골라와 나미비아에 주둔
남서아프리카22,000명의 남서아프리카 영토군 병력, 8,300명의 남서아프리카 경찰 경찰
상대 진영 (1988년)약 122,000명
SWAPO32,000명의 나미비아 인민 해방군 게릴라
쿠바40,000명의 쿠바 혁명군 병력이 앙골라 남부에 주둔
앙골라50,000명의 앙골라 인민 해방군 병력
사상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사망 2,365–2,500명
SWAPO사망 11,335명
쿠바사망 2,016–5,000명 (앙골라 내전 사망자 포함)
나미비아 민간인 사망자947–1,087명

2. 명칭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앙골라나미비아(당시 남서 아프리카)에서 벌인 선전포고 없는 분쟁에는 다양한 이름이 붙었다.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나미비아 인민해방군(PLAN)이 벌인 사보타주와 농촌 반란 형태의 군사 작전과 앙골라 또는 잠비아 내 PLAN 기지로 의심되는 곳에 대한 남아프리카 군대의 해외 공격을 의미하며, 때로는 앙골라 인민해방군(FAPLA)과 쿠바 동맹군과의 주요 재래식 전쟁이 수반되기도 했다.[32]

"국경 전쟁"은 1970년대 후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공론화되었으며 이후 집권당인 국민당에 의해 채택되었다.[32] 앙골라 내 남아프리카 방위군(SADF) 작전의 은밀한 특성 때문에, 이 용어는 외국 영토에서의 충돌에 대한 언급을 생략하는 수단으로 선호되었다. 다양한 교전의 전술적 측면이 논의될 때, 군사 역사가들은 이 분쟁을 단순히 "부시 전쟁"으로 식별했다.[32][33]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는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을 나미비아 민족 해방 전쟁[32] 및 나미비아 해방 투쟁이라고 묘사했다.[35] 나미비아 맥락에서, 이는 일반적으로 나미비아 독립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전쟁의 광범위한 지역적 함의와 대부분의 전투가 나미비아가 아닌 다른 국가에서 벌어졌다는 사실을 무시한다고 비판받아 왔다.[32]

3.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던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는 전쟁 중 연합군 루이 보타 장군에 의해 점령당했다. 1918년 11월 11일 휴전 이후 국제 연맹은 위임통치 시스템을 부과했는데,[36] 이는 독일과 오스만 제국의 옛 영토 합병을 원하는 측과 자치 능력 확보 시까지 국제 신탁 통치에 맡기려는 측 사이의 타협안이었다.[36]

남서 아프리카는 "C"급 위임통치 지역으로 분류되었는데,[36] 이는 위임통치국의 통합된 주로 관리될 수 있음을 의미했다. 그러나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는 완전한 주권이 아닌 관리 책임만 부여했다.[36] 남아프리카 연방이 남서 아프리카 위임통치를 받았다.[37]

남아프리카 정부는 이 위임통치를 사실상 합병으로 간주했다.[37] 1922년 얀 스머츠 남아프리카 총리는 남서 아프리카가 남아프리카 연방에 완전히 통합되어 사실상 다섯 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7]

국제 연맹은 남아프리카의 위임통치 조건 준수가 미흡하다고 비판했다.[38] 남아프리카의 정책은 여러 차례 거부되었고, 백인 나미비아인에 대한 과도한 지출도 비판받았다.[38] 국제 연맹은 특정 인구 집단이 우대받을 자격이 없다고 강조했다.[38]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정치적 자결은 거의 진전되지 않았다.[38]

분쟁의 기원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아프리카 연방은 대영 제국과 동맹국을 대신해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를 침공, 점령했다. 독일 패배 후 국제 연맹은 남아프리카 연방에 주민 자치 능력 확보 시까지 영토 관리 위임을 부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아프리카 연방은 남서 아프리카의 국제 연합신탁 통치 편입을 거부하고, 케이프 주, 나탈 주, 오렌지 자유국, 트란스발 주에 이은 5번째 주로의 병합 권리를 요구했다. 남서 아프리카 백인 주민에게 남아프리카 의회 의원 선출권을 부여하는 등 통합 조치가 시행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제 연맹 위임통치

제1차 세계 대전남아프리카 연방은 연합군의 루이 보타 장군 지휘하에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던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침략하여 점령했다.[36] 전쟁 후 국제 연맹은 전쟁 전 독일과 오스만 제국이 보유했던 아프리카 및 아시아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위임통치 시스템을 도입했다.[36] 이는 독일과 터키의 옛 영토 합병을 옹호하는 측과, 자치 능력이 생길 때까지 국제 신탁 통치에 맡기려는 측 사이의 타협안이었다.[36]

옛 독일 및 터키 영토는 세 가지 유형의 위임통치로 분류되었는데, 남서 아프리카는 인구 밀도가 낮고 개발이 덜 된 독일 식민지로 "C"급 위임통치에 해당되었다.[36] "C"급 위임통치는 규모가 작고,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인구 밀도가 낮거나, 위임통치를 받는 국가와 물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위임통치를 맡은 국가의 통합된 주로 관리될 수 있었다.[36] 국제 연맹은 위임통치를 통해 완전한 주권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 책임만 부여했다.[36] 남아프리카 연방은 남서 아프리카를 위임통치 받았다.[37]

그러나 남아프리카 정부는 이 위임통치를 사실상 합병으로 해석했다.[37] 1922년 9월, 남아프리카 총리 얀 스머츠는 국제 연맹 위임통치 위원회에서 남서 아프리카가 연방에 완전히 통합되어 사실상 남아프리카의 다섯 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7] 이는 "이름만 제외한 합병"이었다.[37]

국제 연맹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남아프리카가 위임통치 조건을 준수하는 데 가장 태만하다고 비판했다.[38] 남아프리카의 정책 결정은 여러 번 거부되었고, 백인 나미비아인에 대한 과도한 지출에 대해서도 비판받았다.[38] 국제 연맹은 어떠한 위임통치 인구 집단도 다른 집단보다 우대받을 자격이 없으며, 백인에 대한 특별한 의무를 규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8]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정치적 자결을 향한 진전은 거의 없었고, 남아프리카와 국제 연맹은 여전히 대립했다.[38]

3.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와 유엔 신탁통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이 해체되고 국제 연합(UN)이 설립되면서, 이전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는 신탁 통치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국제 연합 헌장 제77조는 UN 신탁 통치가 "현재 위임 통치 하에 있는 영토에 적용된다"라고 명시했고, "어떤 영토를 신탁 통치 시스템으로 편입하고 어떤 조건으로 할 것인지는 후속 합의의 문제"가 될 것이라고 명시했다.[39]

그러나 남아프리카 연방영국 주재 남아프리카 고등 판무관 히턴 니콜스의 발언을 통해 남서아프리카의 법적 불확실성이 발전을 저해하고 외국인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이유로 제안된 신탁 통치를 의심했다.[38] 또한, 영토가 너무 미개발되고 인구 밀도가 낮아 강력한 독립 국가로 기능할 수 없어 자치권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39]

얀 스머츠는 총회에서 위임 통치가 본질적으로 남아프리카 영토와 국민의 일부이며, UN의 승인을 받은 병합은 단순한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39]

하지만 총회는 스머츠 대표단의 위임 통치 종료 요청과 서남 아프리카 병합 허가를 환영하지 않았다.[39] 영국을 포함한 다른 다섯 국가는 원칙적으로 UN의 신탁 통치 하에 위임 통치를 두는 데 동의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만 거부했다. 대부분의 대표들은 다른 모든 국가가 신탁 통치를 시작했을 때, 위임 통치 영토의 병합을 승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38] 37개 회원국이 남아프리카의 서남 아프리카 병합을 막기 위해 투표했고, 9개국이 기권했다.[38]

이후 국민당은 UN이 남아프리카의 정책을 간섭하거나 위임 통치 행정을 논의하는 데 부적합하다고 일축하고, 서남 아프리카를 일방적으로 병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38] 1948년 남아프리카 총선에서 국민당이 정권을 잡은 후, 다니엘 말란 총리는 병합에 대해 더욱 공격적인 입장을 취했다.[38] 1949년 서남 아프리카 사무 관리법이 남아프리카 의회를 통과하면서 백인 서남 아프리카인에게 의회 대표권과 백인 남아프리카인과 동일한 정치적 권리를 부여했다.[40]

UN 총회는 국제 사법 재판소 (ICJ)에 책임을 미루고, 서남 아프리카의 국제적 지위에 대한 자문 의견을 발표하도록 했다.[38] ICJ는 서남 아프리카가 여전히 위임 통치로 통치되고 있다고 판결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법원의 의견을 관련 없다고 거부했다.[40] UN은 서남 아프리카 위원회를 구성하여 해당 영토의 행정과 개발에 대한 자체적인 독립 보고서를 발행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관리들을 점점 더 신랄하게 비판했다.[40]

3. 3. 남아프리카 공화국 통치에 대한 내부 저항

1950년대 후반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내부 저항이 고조되었다.[41] 1952년 아프리카 민족 회의가 통행증 법에 대항하여 시작한 비폭력 시위인 저항 운동은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남서 아프리카 학생 연합의 형성에 영감을 주었다.[35] 1955년, 이들은 남서 아프리카 진보 협회(SWAPA)를 조직하여 남서 아프리카 독립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41] SWAPA는 헤레로족 학생, 교사, 빈트후크의 흑인 지식인 등이 주축이었다.[35]

한편, 오밤볼랜드 인민 회의(OPO)는 케이프타운에서 도시화된 오밤보족 노동자들 사이의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OPO는 UN 신탁 통치와 남서 아프리카 독립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35] 1959년 9월 27일, SWAPA와 OPO는 남서 아프리카 민족 연합(SWANU)으로 통합되었다.[41]

1959년 12월, 남아프리카 정부는 올드 로케이션의 모든 흑인 주민을 강제 이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SWANU는 시위와 버스 보이콧으로 대응했고, 남아프리카 경찰의 발포로 11명의 시위자가 사망했다.[41] 이후 OPO는 SWANU에서 분리되어 뉴욕시의 UN 대표에게 청원했다. OPO는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로 명칭을 변경하고, 모든 남서 아프리카인에게 문호를 개방했다.[35]

샘 누조마, SWAPO와 OPO의 전신 창립자이자 지도자.


SWAPO 지도자들은 국제 사회, 특히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해외로 나섰다. 탄자니아로부터 인정을 받고 다르에스살람에 사무실을 개설하면서 외교적 성공을 거두었다.[41] 1960년 7월 SWAPO의 첫 번째 선언문은 식민주의와 인종 차별주의 폐지, 범아프리카주의 장려, 남서 아프리카인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촉구했다.[35] 1963년까지 흑인 다수 통치 하에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하며, 보통 선거권, 복지 프로그램, 무상 의료, 무상 공교육, 주요 산업 국유화, 외국 소유 토지의 강제 재분배를 약속했다.[35]

SWAPO는 제한적인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해 무장 봉기를 주요 수단으로 받아들였다.[41] SWAPO 지도자들은 무장 투쟁이 민족주의 대의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고, 국제 지지자들에게 SWAPO를 나미비아 독립 투쟁의 선구자로 인식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35] 움콘토 위 시즈웨를 모델로,[41] 1962년 SWAPO는 남서 아프리카 해방군(SWALA)을 결성했다. 최초의 SWALA 신병들은 이집트소련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42]

3. 4. 냉전 긴장과 국경 군사화

1950년대 후반 이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국방 정책이 도미노 이론과 남아틀란틱과 인도양 사이의 전략적 케이프 항로에 대한 소련의 재래식 군사 위협에 대한 우려를 포함한 국제 냉전 정치의 영향을 받았다.[44]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세계 주요 우라늄 공급국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남아프리카공화국 외무부는 "이러한 이유만으로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동서 간의 어떤 전쟁에도 연루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44]

한국 전쟁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참전하면서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미국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말란 총리와 미국 간의 관계가 크게 개선되었다.[6] 1960년대 초반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전략적, 군사적 지원은 아프리카 남부 아대륙에서 미국의 외교 정책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간주되었으며, 워싱턴에서 프리토리아로 꾸준히 국방 기술이 이전되었다.[6] 가상의 외부 공산주의 침략으로부터 아프리카를 방어하려는 미국 및 서유럽의 관심은 핵무기 경쟁이 전 세계적인 재래식 전쟁의 가능성을 점점 더 낮추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 후 약화되었다.[44] 이후 강조점은 노골적인 소련의 침략보다는 대리 전쟁을 통한 공산주의 전복과 침투를 막는 데로 옮겨졌다.[44]

SWAPO에 공급된 소련제 장비. 왼쪽부터: 가방,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PG-7V RPG 발사체, RPG-7 발사기.


세계적인 탈식민지화의 출현과 그에 따른 여러 독립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에서 소련의 부상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에 의해 경계심을 가지고 주시되었다.[45] 국민당 정치인들은 그들이 국경에서 소련이 지시하는 반란에 직면하게 되는 것은 시간 문제일 뿐이라고 경고하기 시작했다.[45] 카프리비 스트립으로 명명된 남서 아프리카의 외곽 지역은 대규모 남아프리카 방위군 공중 및 지상 훈련 기동의 초점이 되었으며, 국경 순찰도 강화되었다.[43]

SWAPO가 게릴라 훈련을 위해 첫 번째 SWALA 신병을 해외로 파견하기로 결정하기 1년 전,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반군을 억제할 목적으로 카프리비 스트립을 따라 요새화된 경찰 초소를 설치했다.[43] 소련 무기와 훈련을 받은 SWALA 간부들이 남서 아프리카에 나타나기 시작하자, 국민당은 소련의 지역 대리 세력에 대한 자신들의 두려움이 마침내 현실이 되었다고 믿었다.[43]

소련은 아프리카의 독립 운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처음에는 대륙에서 사회주의 고객 국가를 육성하여 서방에 대한 경제적, 전략적 자원을 없애기를 희망했다.[46] 따라서 SWALA에 대한 소련의 훈련은 전술적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마르크스-레닌주의 정치 이론과 효과적인 정치-군사적 인프라 구축 절차까지 확장되었다.[47] 훈련 외에도 소련은 곧 SWALA의 주요 무기 및 자금 공급자가 되었다.[48] 1962년부터 1966년까지 SWALA에 공급된 무기에는 PPSh-41 기관단총, SKS 카빈총, TT-33 권총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반군의 비정규전 전략에 적합했다.[49][50]

4. 전쟁의 전개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의 우익 정권이 무너지면서 포르투갈 제국은 종말을 맞았다.[65] 앙골라는 독립 이후 내전으로 번질 수 있는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소련의 지원을 받는 정권이 남서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와 동맹을 맺고 남아프리카 서부 아프리카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을 우려했다.[66]

1974년 포르투갈은 앙골라 독립을 승인하고, 알보르 협정 체결을 추진했다.[67] 당시 앙골라에서는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연합(UNITA),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등 세 개의 민족주의 운동이 활동했다.[67] 이들은 앙골라 독립 전쟁에 참여하여 식민 통치로부터의 독립이라는 공통 목표를 가졌지만, 서로 다른 민족적 기반, 이념, 외세와의 관계를 주장했다.[67] MPLA는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마르크스주의 정책을 지지하며, FNLA 및 UNITA와 대립했다.[67]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MPLA 집권 시 남아프리카 서부 아프리카 인민 해방군(PLAN)을 군사적으로 지원하고, 남아프리카 서부 아프리카에서의 전투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68] 이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사바나 작전을 통해 FNLA와 UNITA에 무기와 자금을 지원했다.[68] UNITA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와 FNLA 지도자 홀덴 로베르토는 PLAN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70][68]

중앙 정보국(CIA)은 IA 작전을 통해 FNLA에 무기를 제공하며, 소련 지원 세력의 앙골라 승리를 막고자 했다.[71] 미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MPLA 저지에 이상적인 동맹국으로 인식했다.[72] 미국의 지원으로 FNLA와 UNITA는 앙골라 북부와 남부에 병력을 집결시켰고, 알보르 협정으로 설치된 과도 정부는 붕괴되었다.[1] 1975년 MPLA는 쿠바와 콩고 인민 공화국을 통해 소련제 무기를 지원받았고, 쿠바 군사 고문단이 앙골라 해방 인민 무장군(FAPLA) 병사들을 훈련시켰다.[1][73]

197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부 장관 P.W. 보타는 MPLA의 우세를 확인하고, 칼루에케 수력 발전소 교전을 계기로 앙골라 개입을 확대했다.[68] 8월 9일, 남아프리카 군대 1,000명이 앙골라에 진입하여 칼루에케를 점령했다.[71]

사바나 작전 중 정체를 알 수 없는 군복을 입은 남아프리카 군인들.


1975년 10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500명의 군인을 전투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72][65] FAPLA는 T-34-85 탱크 등 더 많은 무기를 지원받았지만, 조직적이지 않고 장비가 부족한 민병대였기 때문에 효과적이었다.[7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동맹국 방어와 FAPLA에 대한 반격을 위해 자체 전투 부대가 필요했고, 소규모 비밀 작전 부대 투입을 승인받았다.[66]

10월 22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엘랜드 장갑차 중대를 공수하여 실바 포르토의 UNITA 진지를 강화했다.[75] 남아프리카 원정군은 기동 보병과 장갑차로 구성된 세 개의 열로 분할되어 앙골라로 진입했다.[2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1월 초까지 여러 지방 수도를 포함하여 18개의 주요 도시를 점령하고 앙골라로 500km 이상 진입했다.[74] 소련은 FAPLA에 대한 대규모 무기 공수를 준비했다.[77]

4. 1. 초기 게릴라 침투 (1964-1974)

196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에 저항하고 남서아프리카의 독립을 위해 SWAPO가 설립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의 지원을 받은 SWAPO는 게릴라 훈련을 시작했고, 1966년 이후 남아프리카의 경찰 및 군대와 빈번하게 충돌했다. (나미비아 독립 전쟁)

SWAPO는 포르투갈령 앙골라에서 앙골라 독립을 목표로 하는 반정부 조직 (MPLA, UNITA, FNLA)과 남아프리카 국내에서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을 펼치는 ANC의 무장 부대인 움콘토 위 시즈웨와 협력 체제를 구축했다. 이에 대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앙골라 독립 운동 진압을 도모하는 에스타두 노부 체제 하의 포르투갈과 협력 체제를 구축했다.

4. 2. 전쟁 확대와 지뢰전 (1967-1974)

1960년대 후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증가하는 반군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모든 백인 남성을 대상으로 징병제를 확대했다. 1968년부터 매년 두 차례 9개월 간의 군사 훈련을 받는 징집병들이 배출되었다.[53] 1967년 5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룬두에 새로운 시설을 설립하고, 메농게와 쿠이투 쿠아나발레에 연락 장교를 배치하여 포르투갈군과의 합동 작전을 조율했다.[24]

SWAPO는 1969-70년 탄자니아에서 열린 회의에서 지뢰전을 핵심 전략으로 채택했다. 나미비아 인민 해방군(PLAN)은 소련에서 TM-46 지뢰를 획득하고, 자체 제작한 "상자 지뢰"를 생산하여 대전차 및 대인용으로 사용했다.[55] 지뢰는 경찰 호송대를 방해하거나 매복 전에 혼란을 주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었고, 게릴라들은 앙골라와의 국경 침투 경로에 지뢰를 설치했다.[57]

1971년 5월 2일, 카프리비 지역에서 경찰 밴이 지뢰를 밟아 경찰관 2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당했다.[58] 이는 남서아프리카에서 기록된 최초의 지뢰 관련 사건이었다.[58] 1971년 10월, 카티마 멀릴로 외곽에서 지뢰 폭발로 경찰관 4명이 부상당하고, 다음 날 다섯 번째 경찰관이 추가로 설치된 지뢰를 밟아 사망했다.[58] 이는 대전차 지뢰와 함께 대인 지뢰를 설치하는 PLAN의 새로운 전술을 보여준다.[56] 1972년, 남아프리카는 지뢰로 인해 경찰관 2명이 더 사망하고 3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58]

오항궤나에서 작전 중인 남아프리카 기갑 부대 (1970년대). 이들은 PLAN의 매복과 지뢰 공격 대상이었다.


지뢰 확산으로 남아프리카 정부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지뢰는 은폐와 설치가 쉽고 탐지가 어려웠기 때문이다.[57]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은 1972년 말부터 지뢰 방호 차량을 이용하여 카프리비 지역 순찰을 수행했다.[57]

한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69는 1969년 8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미비아" 점령을 불법으로 선언했다.[54][55]

4. 3. 오밤볼랜드의 정치적 불안 (1971-1974)

1971년 6월 21일, 국제사법재판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미비아 위임 통치가 불법이라는 의견을 표명했다.[59] 이는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주교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리 B. J. 보르스터에게 아파르트헤이트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를 비난하는 공개 서한을 작성하는 계기가 되었다.[51] 이 서한은 오밤보족 사이에서 군사적 성향을 증가시켰고, 그해 오밤보랜드 학교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51]

1971년 12월, 총파업이 발생하여 윈드후크, 추메브, 그루트폰테인, 오라넨문드 등지로 확산되었다.[61] 25,000명의 오밤보 농장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했고, 남아프리카 경찰은 파업 노동자들을 체포하고 오밤보랜드로 강제 추방했다.[61] 파업자들은 계약 노동 철폐, 자유로운 직업 선택, 가족 동반 허용, 백인 노동자와의 동일 임금 등을 요구했다.[60]

파업은 남아프리카 정부가 일부 양보안에 동의하면서 종료되었지만, 해고된 노동자들은 이에 불만을 품고 국경 울타리를 뜯어내는 등 저항했다.[51] 앙골라의 콰냐마 방언을 사용하는 오밤보족도 불만을 품고 남아프리카 국방군과 포르투갈 민병대원을 공격했다.[6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72년 2월 4일 오밤보랜드에 비상 사태를 선포하고, 언론 통제를 실시하고, 공공 집회 권리를 박탈하고, 보안군에게 무기한 구금 권한을 부여했다.[60] 남아프리카는 대규모 병력을 배치했고, 3월 말까지 질서가 회복되었다.[60]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파업과 불안을 선동한 혐의로 SWAPO를 비난했지만, SWAPO는 노동법 개혁이 오밤보 노동자들의 오랜 열망이었다고 언급했다.[60] 파업은 오밤보 인구의 정치화를 가져왔고, 많은 노동자들이 SWAPO에 가입하거나 나미비아 인민 해방군 게릴라로 모집되었다.[51]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오밤보랜드에 제한적인 자주 관리를 부여했지만, SWAPO의 선거 보이콧 등으로 투표율이 매우 저조했다.[51]

1973년 자치 반투스탄으로 자치 지위를 부여받은 오밤보랜드의 국기.

4. 4. 경찰 철수와 SADF의 개입 (1973-1974)

1973년, 남서아프리카 인민해방군(PLAN)은 수천 명의 신규 병력과 정교한 중화기로 무장하고 남아프리카 치안 부대와 더 직접적인 대립을 벌였다.[58] 반군 활동은 매복과 선별적인 목표 공격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잠비아 국경 근처의 카프리비 스트립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다.[62] 1973년 1월 26일, 약 50명의 PLAN 반군이 박격포, 기관총, 휴대용 로켓 발사기로 카프리비의 싱가람웨 경찰 기지를 공격했다.[55][63] 경찰은 공격을 격퇴할 장비가 부족했고, 기지는 초기 로켓 공격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지휘관과 부지휘관이 모두 무력화되었다.[63] 이는 PLAN의 습격 규모와 강도가 크게 증가한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의 새로운 국면의 시작을 알렸다.[49] 1973년 말까지 PLAN의 반군은 카프리비 스트립, 오반보랜드, 카오코랜드, 카방고랜드 등 6개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49] 2,400명의 오반보족과 600명의 로지족 게릴라를 추가로 모집했다.[55] 1973년 말 PLAN의 보고서에 따르면, 무장 세력은 남서아프리카 중부에 두 개의 새로운 전선을 열고 빈트후크, 월비스 베이 및 기타 주요 도시 중심지에서 도시 폭동을 일으킬 계획이었다.[49]

1973년까지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은 군사적 분쟁보다는 법 집행 문제로 인식되었는데, 이는 영어를 사용하는 영연방 국가들이 반군 진압의 주요 세력으로 경찰을 여기는 추세를 반영했다.[7]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은 준군사적 능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전에 로디지아 부시 전쟁에서 작전을 수행한 적이 있었다.[7] 그러나 남서아프리카에서 전쟁의 확산을 막지 못한 경찰의 실패로, 1974년 4월 1일 남아프리카 방위군(SADF)이 모든 대반군 작전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었다.[49] 3개월 후인 6월, 마지막 정규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 부대가 남서아프리카 국경에서 철수했다.[58] 이 당시 약 15,000명의 SADF 병력이 그 자리를 대신하기 위해 배치되었다.[61] SADF의 예산은 1973년과 1974년 사이에 거의 150% 증가했다.[61] 1974년 8월, SADF는 앙골라 국경과 평행하게 뻗어 PLAN의 침투 징후를 집중적으로 순찰하고 감시하는 약 5km 폭의 완충 지대를 정리했는데, 이곳은 "더 컷라인(the Cutline)"으로 알려지게 되었다.[64]

4. 5. 앙골라 전선 (1975-1977)

1974년 4월 25일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의 우익 정권이 무너지면서 포르투갈 제국은 종말을 맞았다.[65] 앙골라는 독립 이후 내전으로 번질 수 있는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소련의 지원을 받는 정권이 남서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와 동맹을 맺고 남아프리카 서부 아프리카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을 우려했다.[66]

1974년 포르투갈은 앙골라 독립을 승인하고, 알보르 협정 체결을 추진했다.[67] 당시 앙골라에서는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연합(UNITA),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등 세 개의 민족주의 운동이 활동했다.[67] 이들은 앙골라 독립 전쟁에 참여하여 식민 통치로부터의 독립이라는 공통 목표를 가졌지만, 서로 다른 민족적 기반, 이념, 외세와의 관계를 주장했다.[67] MPLA는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마르크스주의 정책을 지지하며, FNLA 및 UNITA와 대립했다.[67]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MPLA 집권 시 남아프리카 서부 아프리카 인민 해방군(PLAN)을 군사적으로 지원하고, 남아프리카 서부 아프리카에서의 전투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68] 이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사바나 작전을 통해 FNLA와 UNITA에 무기와 자금을 지원했다.[68] UNITA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와 FNLA 지도자 홀덴 로베르토는 PLAN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70][68]

중앙 정보국(CIA)은 IA 작전을 통해 FNLA에 무기를 제공하며, 소련 지원 세력의 앙골라 승리를 막고자 했다.[71] 미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MPLA 저지에 이상적인 동맹국으로 인식했다.[72] 미국의 지원으로 FNLA와 UNITA는 앙골라 북부와 남부에 병력을 집결시켰고, 알보르 협정으로 설치된 과도 정부는 붕괴되었다.[1] 1975년 MPLA는 쿠바와 콩고 인민 공화국을 통해 소련제 무기를 지원받았고, 쿠바 군사 고문단이 앙골라 해방 인민 무장군(FAPLA) 병사들을 훈련시켰다.[1][73]

197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부 장관 P.W. 보타는 MPLA의 우세를 확인하고, 칼루에케 수력 발전소 교전을 계기로 앙골라 개입을 확대했다.[68] 8월 9일, 남아프리카 군대 1,000명이 앙골라에 진입하여 칼루에케를 점령했다.[71]

1975년 10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500명의 군인을 전투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72][65] FAPLA는 T-34-85 탱크 등 더 많은 무기를 지원받았지만, 조직적이지 않고 장비가 부족한 민병대였기 때문에 효과적이었다.[7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동맹국 방어와 FAPLA에 대한 반격을 위해 자체 전투 부대가 필요했고, 소규모 비밀 작전 부대 투입을 승인받았다.[66]

10월 22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엘랜드 장갑차 중대를 공수하여 실바 포르토의 UNITA 진지를 강화했다.[75] 남아프리카 원정군은 기동 보병과 장갑차로 구성된 세 개의 열로 분할되어 앙골라로 진입했다.[2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1월 초까지 여러 지방 수도를 포함하여 18개의 주요 도시를 점령하고 앙골라로 500km 이상 진입했다.[74] 소련은 FAPLA에 대한 대규모 무기 공수를 준비했다.[77]

4. 6. 외부 남아프리카 작전 (1978-1984)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에서 남서아프리카 인민 기구(PLAN)는 앙골라에 기지를 구축하고 남서아프리카로의 침투를 확대했다. 이에 남아프리카 방위군(SADF)은 앙골라 내 PLAN 기지를 공격하는 국경 횡단 작전을 수행했다. 주요 작전으로는 순록 작전(1978년 5월), 프로테아 작전, 아스카리 작전 등이 있다.[101][94]

순록 작전의 일환으로 1978년 5월 4일, SADF 공수부대가 앙골라 카싱가를 공격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카싱가를 PLAN의 군사 기지로 간주했지만, SWAPO와 쿠바는 난민 캠프라고 주장했다. 이 공격으로 최소 612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이 사건은 '카싱가 학살'로 불리며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다.[103] 남아프리카 측은 사망자 대부분이 캠프를 방어하던 반군이라고 주장했다.[103]

카싱가 사건 이후,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비판하며, 나미비아 평화 협상에서 남아프리카를 동등한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았다.[68]

1978년, P.W. 보타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총리로 취임하면서, 앙골라 내 PLAN 기지에 대한 공격이 더욱 강화되었다.[105] 1980년부터 1982년까지 SADF는 앙골라를 세 차례 침공하여 PLAN의 병참 시설을 파괴했다.[117]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나미비아 독립 협상을 지연시키기 위해 쿠바군 철수를 조건으로 내세웠다.

4. 7. 앙골라에서의 철수 (1985-1988)

1984년 초,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앙골라가 평화 협정 원칙에 합의한 직후, UNITA는 휴전 조건을 수용할 자체 조건을 제시했다.[141] UNITA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는 MPLA와 함께 자신이 일부를 차지하는 국민 통합 정부를 요구했으며, 무시될 경우 주요 도시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141] 이러한 방식으로 사빔비는 SADF와 FAPLA의 철수 조건에 자신의 앙골라 정권과의 이해관계 충돌을 얽어 넣으려 했다.[141] P. W. 보타는 표면적으로 반공산주의 운동인 UNITA를 승인했지만, 사빔비의 요구를 도스 산토스에게 설득하기 위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114] UNITA는 루안다에서 남쪽으로 260킬로미터 떨어진 숨베를 급습하는 것으로 대응했다.[141] 그해 6월, UNITA는 카빈다의 송유관을 파괴하고 영국인 외노자 16명과 포르투갈 기술자 1명을 납치했다.[141] 6개월 후, 반군은 카푼포를 급습하여 FAPLA 병력 100명을 살해했다.[141]

이 공격의 대부분은 사빔비가 UNITA의 새로운 국가 본부로 선포한 쿠안도 쿠반고 주의 잠바에서 계획되고 실행되었다.[142] 잠바는 이전에는 전략적 중요성이 없었고, 농업 기반 시설도 없었으며,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도 제한적이었지만, FAPLA 기지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오밤볼란드와 카프리비 스트립의 SADF 기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142] FAPLA는 바로 이러한 이유로 해당 지역을 버리고 Operation Protea 이후 북쪽으로 철수했지만,[55] 그 과정에서 사빔비가 재빨리 이용할 수 있는 권력 공백을 남겼다.[121]

사빔비는 잠바를 사용하여 UNITA의 이미지를 높이고 지역 기반 시설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142] 그는 미국 및 남아프리카 언론인에게 정착지를 개방하고, MPLA를 비난하는 빈번한 기자 회견에서 홍보 기술을 연마했으며, 서방의 지원을 로비했다.[142] 레이건 독트린에 따라 미국 정부는 UNITA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비밀 채널을 열었다.[116] 그것은 UNITA와 FNLA에 대한 CIA의 추가 지원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클라크 수정안을 폐지하여, 기관이 앙골라 작전을 재개하도록 했다.[143] 앙골라 정부는 이를 "미국 행정부와 퇴행적 인종차별주의 프리토리아 정권 사이에 항상 존재해 온 공모의 증거"라고 주장하며 "미국 정부 특사와의 접촉을 중단하는 것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고 밝혔다.[140]

1986년, 사빔비는 워싱턴을 방문하여 미국 관리들을 만나 약 1000만달러 상당의 군사 장비, 특히 FIM-92 스팅어 지대공 미사일과 BGM-71 TOW 대전차 미사일을 약속받았다.[114] 미국은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앙골라 남부에 주둔하여 제공하는 보호막을 잃더라도 UNITA에 대한 지원을 계속할 것을 약속했다.[143]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UNITA에 더 많은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앙골라 반군을 위한 추적이 불가능한 무기 획득을 CIA가 돕도록 지원했다.[116] CIA는 UNITA를 위해 소련과 동유럽 무기를 획득하는 데 관심이 있었는데, 이는 개별 게릴라가 FAPLA로부터 탈취한 무기로 쉽게 넘겨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116]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Operation Sceptic, Protea 및 Askari 작전 중 압수한 소련 무기를 대량 비축하고 있었으며, 이 중 일부를 UNITA에 이전하도록 설득되었다.[24]

사바나 작전이 앙골라에서 MPLA의 부상을 막는 데 실패한 후, 남아프리카 정치 지도부는 일반적으로 무력으로 그 판세를 뒤집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받아들였다.[144] 동시에, 보르스터와 보타는 앙골라에서 FAPLA-PLAN 연합을 상대로 승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전제 없이는 PLAN에 대한 완전한 군사적 패배가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했다.[144] 각 행정부의 강경파들은 사빈비가 MPLA 정부를 몰아내는 데 도움이 되도록 남아프리카의 완전한 군사력을 투입하기를 원했고, 다른 사람들은 단순히 PLAN에 대한 제한적인 봉쇄 작전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144] 육해공으로 앙골라를 공격하고 MPLA의 권력 중심지에 직접 집중할 수 있는 공세적 전략은 논의된 적이 없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멀어졌다.[144] 따라서 그 자리를 대신하여, 다른 인기 있는 선택지는 주로 서남 아프리카의 지리적 한계 내에서 주요 위협인 PLAN과 싸우고, 징벌적인 국경 침투 공격의 형태로 앙골라를 위협하는 데 집중하여 본질적으로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이었다.[144]

보타는 MPLA를 전복하는 것을 실행 가능한 목표로 심각하게 고려한 적은 없었지만, 몇 가지 이유로 UNITA에 대한 원조를 늘리는 것을 지지했다. 특히 아르곤 작전 실패 이후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개선하고, UNITA를 PLAN을 괴롭히는 대리 세력으로 만들 수 있으며, 사빈비에게 노획된 무기를 기증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고 부인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144]



UNITA에 무기를 지원하는 것에 대한 미국과 남아프리카의 정당성은 부분적으로 소련이 FAPLA에 더 정교한 무기를 제공한 것과, 1985년 말까지 25,000명에서 31,000명으로 급증한 앙골라 주둔 쿠바 군의 증가에 있었다.[111] 루사카 협정이 여전히 유효한 동안, 쿠바와 소련 군사 대표단은 도스 산토스에게 SADF와의 휴전을 이용하여 UNITA를 제거하라고 촉구했다.[80] 이 기간 동안 앙골라에 대한 소련의 군사 지원이 상당량 증가하여, 약 200대의 새로운 T-55 및 T-62 전차를 포함하여 10억달러 상당의 무기가 FAPLA로 이전되었다.[80] 모스크바는 더 많은 앙골라 조종사를 훈련시키고, 특히 미코얀-구레비치 MiG-23과 같은 더 진보된 전투기를 루안다에 인도했다.[1] 3년 동안 앙골라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두 번째로 큰 무기 수입국이 되었다.[91]

FAPLA의 무기고는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되어 SADF는 소련이 후원하는 무기 증강이 다른 곳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111] 마그누스 말란 장군은 소련 군사 장비의 "홍수"와 그 정교한 특성에 대해 경고하는 연설을 하면서, 이는 SADF의 제한적인 원정군과 UNITA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많다고 주장했다.[111] 말란은 "러시아는 앙골라에 강력하고 안정적인 기지를 개발한 다음, 그곳에 배치된 장비와 인력을 필요에 따라 아대륙에서 사용할 것"이라고 이론화했다.[111] 남아프리카는 점차 앙골라와 재래식 무기 경쟁에 갇히게 되었고, 양측은 상대방의 증강된 전력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6] 예를 들어, 앙골라에 진보된 MiG-23 및 SU-22 전투기의 등장에 대응하기 위해 남아프리카는 자체적으로 두 대의 정교한 전투기, 아틀라스 치타와 아틀라스 카버의 개발을 시작했다.[147] 두 프로그램 모두 수십억 랜드가 소요될 것이다.[145]

4. 8. 최종 협상과 나미비아 독립 (1988-1990)

198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앙골라, 쿠바는 평화를 위한 삼국 협정에 서명했다.[2] 쿠바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남서아프리카(현 나미비아)에서 철수하고, 해당 지역의 독립을 인정할 경우 앙골라에서 철수하는 데 동의했다.[2]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한계에 직면하면서 평화 협상에 참여하게 되었다.[157] 쿠이토 쿠아나발레 전투에서 발생한 사상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 전쟁에 대한 회의론을 불러일으켰고, 국제 사회의 압력도 거세졌다.[157]

미국과 소련은 공동으로 평화 회담을 중재했고, 1988년 5월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 앙골라, 쿠바는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다.[157] 회담은 주로 쿠바군 철수 일정과 나미비아 독립 문제를 다루었으며, 1988년 12월 브라자빌 의정서와 삼자 협정 체결로 이어졌다.[139]

삼자 협정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앙골라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1989년 11월 1일까지 나미비아 독립 절차를 시작하기로 약속했다.[2] 쿠바는 1991년 7월 1일까지 앙골라에서 모든 군대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2]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626에 따라 유엔 앙골라 검증 임무 I(UNAVEM)가 창설되어 쿠바군 철수를 감시했다.[2] 1989년 2월에는 유엔 과도 지원단(UNTAG)이 구성되어 나미비아 독립 과정을 감독했다.[2]

1989년 11월, UNTAG의 감독하에 나미비아에서 총선이 실시되었고, SWAPO가 승리했다.[177] 남서아프리카는 1990년 3월 21일 나미비아 공화국으로 독립했다.[174]

참조

[1] 서적 Soviet Strategy in Southern Africa: Gorbachev's Pragmatic Approach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2] 서적 Nurturing Peace: Why Peace Settlements Succeed Or Fail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3] 서적 Counter-insurgency: Lessons from History Pen & Sword Books
[4] 서적 Flight Plan Africa: Portuguese Airpower in Counterinsurgency, 1961–1974 Helion & Company
[5] 서적 To Be Born a Nation
[6] 서적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South Africa: A Critical Overview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Peter Lang Publishing, Incorporated
[7] 서적 The Namibian War of Independence, 1966–1989: Diplomatic, Economic and Military Campaigns McFarland & Company, Incorporated Publishers
[8] 서적 The Diplomacy of Liberation: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ANC Since 1960 Tauris Academic Studies
[9] 서적 Rethinking African Politics: A History of Opposition in Zambia Ashgate Publishing Ltd
[10] 서적 Soviet Military Assistance: An Empirical Perspective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1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South Africa: From the Dutch-Khoi Wars to the End of Apartheid https://archive.org/[...]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12] 서적 Namibia's Independence Struggle: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13] 서적 Ex-Combatants and the Post-Conflict State: Challenges of Reintegration Palgrave-Macmillan
[14]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https://archive.org/[...] Frank Cass Publishers
[15] 서적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Politics of Southern Africa Routledge Books 2016-01-04
[16] 간행물 Waking the dead: civilian casualties in the Namibian liberation struggle https://repository.u[...] 2012-03
[17] 백과사전 Namibia: The road to Namibia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013-01-15
[18] 서적 Airpower in small wars: fighting insurgents and terrorists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 서적 The Last Hot Battle of the Cold War: South Africa vs. Cuba in the Angolan Civil War Casemate Publishers
[20] 서적 Koevoet! Experiencing South Africa's Deadly Bush War Helion and Company
[21] 서적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https://archive.org/[...] UCL Press, Limited
[22]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Africa ABC-CLIO
[23] 서적 War and Society: The Militarisation of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New Africa Books
[24] 서적 Angola: A Modern Military History https://archive.org/[...] Palgrave-Macmillan
[25] 간행물 Unsung Heroes: The Soviet Military and the Liberation of Southern Africa https://www.tandfonl[...] 2007-05-18
[26] 서적 Responding to Low-Intensity Conflict Challenges Air University Press
[27] 간행물 Cuba and the Independence of Namibia https://www.tandfonl[...] 2007-05-18
[28] 서적 Recovery from Armed Conflict in Developing Countries: An Economic and Polit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Routledge Books
[29] 서적 UN Peacekeeping in Action: The Namibian Experience Nova Science Publishers
[30] 서적 Pale Native: Memories of a Renegade Reporter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31] 서적 Africa in World Politics: Into the 1990s https://archive.org/[...] Palgrave-Macmillan
[32] 서적 South Africa's 'Border War': Contested Narratives and Conflicting Memories Bloomsbury Academic
[33] 웹사이트 Bush War: The Use of Surrogates in Southern Africa (1975–1989) http://apps.dtic.mil[...] 2015-01-04
[34] 간행물 The Citizen Soldier in the Border War University of the Free State
[35] 서적 Swapo's Struggle for Namibia, 1960–1991: War by Other Means P. Schlettwein Publishing Switzerland
[36] 서적 International Law from Below: Development, Social Movements and Third World Resistan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Ends of British Imperialism: The Scramble for Empire, Suez, and Decolonization I.B. Tauris & Company, Ltd
[38] 서적 South West Africa Penguin Books, Incorporated
[39] 서적 South Africa and the World: The Foreign Policy of Apartheid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40] 서적 Argument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Ethics, Decolonization,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Inevitable Pipeline into Exile. Botswana's Role in the Namibian Liberation Struggle Basler Afrika Bibliographien Namibia Resource Center and Southern Africa Library
[42] 서적 National Liberation in Postcolonial Southern Africa: A Historical Ethnography of SWAPO's Exile Cam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0
[43] 서적 Contesting Caprivi: A History of Colonial Isolation and Regional Nationalism in Namibia Basler Afrika Bibliographien Namibia Resource Center and Southern Africa Library
[44] 서적 South Africa, the Colonial Powers and African Defence: The Rise and Fall of the White Entente, 1948–60 Palgrave Books
[45] 서적 Soviet Policy Towards South Africa Palgrave-Macmillan
[46] 서적 Prolonged Wars: A Post Nuclear Challenge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47] 서적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48] 서적 Prospects of Soviet Power in the 1980s Palgrave Books
[49] 서적 From Fledgling to Eagle: The South African Air Force during the Border War Helion & Company
[50] 서적 Armed Liberation Struggle: Some Accounts of PLAN's Combat Operations Gamsberg Macmillan
[51] 서적 The Devils Are Among Us: The War for Namibia https://archive.org/[...] Zed Books Ltd
[52] 서적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ts Future Role After Fifty Years Kluwer Law International (Martinus Nijhoff Publishers)
[53] 서적 Reflections on War: Preparedness and Consequences Sun Media Press
[54] 서적 Afric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Volume I Martinus Nijhoff Publishers
[55] 서적 Modern African Wars (3): South-West Africa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56] 웹사이트 Namibia Mine Ban Policy http://archives.the-[...]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and the Cluster Munition Coalition (ICBL-CMC) 2017-07-15
[57] 서적 Surviving the Ride: A pictorial history of South African Manufactured Mine-Protected vehicles 30 Degrees South 2014-11
[58] 서적 Still Killing: Landmines in Southern Africa Human Rights Watch 1997
[59] 서적 The Question of Namibia Palgrave-Macmillan
[60] 서적 A History of Resistance in Namibia https://archive.org/[...] Africa World Press
[61] 서적 Namibia and Southern Africa: Regional Dynamics of Decolonization, 1945–90 Kegan Paul International
[62] 서적 Ongulumbashe: Where the Bushwar Began Reach Publishers
[63] 서적 Die Geskiedenis Van Die Suid-Afrikaanse Polisie 1913–1988 Promedia Publications (Pty) Ltd
[64] 서적 At Thy Call We Did Not Falter Zebra Press
[65] 서적 Days of the Generals Struik Publishers
[66] 서적 In search of enemies Futura Publications Limited
[67] 서적 Managing Ethnic Conflict in Africa: Pressures and Incentives for Cooperat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68] 서적 An African Volk: The Apartheid Regime and Its Search for Survival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The Origins of the Angolan Civil War: Foreign Intervention and Domestic Political Conflict, 1961–76 Palgrave Macmillan
[70] 서적 Visions of Freedom: Havana, Washington, Pretoria,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76–199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1] 서적 Beggar Your Neighbours: Apartheid Power in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72] 서적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Toward Africa: Incrementalism, Crisis and Chang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서적 Cuba in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74] 서적 To Make a World Safe for Revolution: Cuba's Foreign Policy Harva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Borderstrike! South Africa Into Angola 1975–1980 Just Done Productions Publishing
[76] 서적 Forty lost years: The apartheid state and the politics of the National Party, 1948 – 1994 Ravan Press (Pty) Ltd
[77] 서적 The Ford Presidency: A History McFarland & Company, Incorporated
[78] 논문 The Saga of South African POWs in Angola, 1975–82 https://www.research[...] Stellenbosch University
[79]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500–2000 2nEd. McFarland & Company
[80] 웹사이트 Soviet-Angolan Relations, 1975–1990 https://www.ucis.pit[...] 1992-03-15
[81] 서적 Communism in Sub-Saharan Africa: A Reappraisal Hoover Institution Press
[8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litical Ideologies Oxfo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84]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Vol. 2: Solidarity and assistance, 1970–1994 http://urn.kb.se/res[...] Nordiska Afrikainstitutet
[85] 웹사이트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http://www.sahistory[...]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6] 웹사이트 The Kissinger/Vorster/Kaunda Detente: Genesis of the SWAPO Spy Drama http://www.sahistory[...] Searchlight South Africa
[87] 서적 Civilians in War https://archive.org/[...] Lynne Rienner Publishers, Incorporated
[88] 서적 Where others wavered Panaf Books
[89] 서적 Call Them Spies: A documentary account of the Namibian spy drama African Communications Project
[90] 서적 32 Battalion: The Inside Story of South Africa's Elite Fighting Unit Zebra Press
[91] 서적 Iron Fist From The Sea: South Africa's Seaborne Raiders 1978–1988 Helion & Company, Publishers
[92] 웹사이트 SWAPO's Army: Organization, Tactics, and Prospect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84-10
[93] 서적 Bushmen Soldiers: The History of 31, 201 & 203 Battalions During the Border War Helion & Company
[94] 서적 Borderstrike! South Africa into Angola Butterworths Publishers
[95] 서적 Warfare and Tracking in Africa, 1952–1990 Routledge Books
[96] 서적 The SADF in the Border War 1966–1989 Tafelberg
[97] 학위논문 How did it come about that South African unconventional units, which were successful in many battles, were unable to turn their victories into political success during the South African Border War 1966 – 1989? https://www.ucis.pit[...] Leiden University
[98] 서적 Vlamgat: The Story of the Mirage F1 in the South African Air Force 30° South Publishers
[99] 서적 Namibia: The sacred trust of civilization, ideal and reality Gamsberg-Macmillan
[100] 서적 War Termination as a Civil-Military Bargain: Soldiers, Statesmen, and the Politics of Protracted Armed Conflict Palgrave Macmillan
[101] 서적 Prisoners of a Dream: The South African Mirage Prince George Street Press
[102] 서적 Battle for Cassinga: South Africa's Controversial Cross-Border Raid, Angola 1978 Helion & Company
[103] 서적 Theatres of Violence: Massacre, Mass Killing and Atrocity throughout History Berghahn Books
[104] 서적 Cold War in Southern Africa: White Power, Black Liberation Routledge Books
[105] 서적 The Defence of White Power: South African Foreign Policy under Pressure Palgrave-Macmillan
[106] 서적 The Road to Democracy in South Africa: 1970–1980 University of South Africa Press
[107] 뉴스 South Africa Strikes Namibian Rebel Bases in Angola https://www.nytimes.[...] 2015-02-18
[108] 서적 South Africa's Border War 1966 – 1989 Ashanti Publishing
[109] 서적 Resolutions and Statement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946–2000): A Thematic Guide Springer Publishing
[110] 서적 The Authority of the Security Council under Chapter VII of the UN Charter: Legal Limits and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11] 서적 South Africa's Foreign Policy: The Search for Status and Security, 1945–1988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2] 서적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Towards Southern Africa: Andrew Young and Beyond Palgrave-Macmillan
[113] 서적 USA, India, Africa During and After the Cold War University of Nairobi Press
[114] 서적 Brothers at War: Dissidence and Rebellion in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British Academi Press
[115] 서적 Foreign Intervention in Africa: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6]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https://archive.org/[...] Pluto Press
[117] 서적 State Security in South Africa: Civil-military Relations Under P.W. Botha ME Sharpe Publishers
[118] 서적 Divide and Rule: State-sponsored Ethnic Violence in Kenya https://archive.org/[...] Human Rights Watch
[119] 웹사이트 Operation Sceptic http://www.61mech.or[...] 61 Mechanised Battalion Group Veterans' Association 2016-09-20
[120] 서적 The New Insurgencies: Anti-Communist Guerrillas in the Third World Routledge Books
[121] 서적 My Enemy's Enemy: Proxy Warfare in International Politics Sussex Academic Press
[122] 서적 World Communism at the Crossroads: Military Ascendancy, Political Economy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123] 서적 NATO, the Warsaw Pact and Africa Palgrave-Macmillan
[124] 서적 The Hot "Cold War": The USSR in Southern Africa Pluto Press
[125] 뉴스 South Africans display the spoils of Angola raid https://www.nytimes.[...] 2014-06-20
[126] 서적 A Study of Crisi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7] 웹사이트 Chronological Listing of Angolan Losses & Ejections http://www.ejection-[...] Project Get Out And Walk: Assisted Aircrew Escape Systems Since 1900 – a comprehensive,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development and use 2016-09-20
[128] 서적 Herding Cats: Multiparty Mediation in a Complex World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129] 서적 U.S. Foreign Policy Towards Apartheid South Africa, 1948–1994: Conflict of Interests Palgrave-Macmillan
[130] 서적 Cubans in Angola: South-South Coopera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1976–1991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1] 뉴스 US pushes to get Cubans out of Angola https://www.nytimes.[...] 2017-08-02
[132] 서적 Modern Insurgencies and Counter-Insurgencies: Guerrillas and their Opponents since 1750 https://archive.org/[...] Routledge Books
[133]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Armstrade.sipri.org 2014-11-20
[134] 서적 Striking Inside Angola with 32 Battalion Helion & Company
[135] 서적 Soviet Foreign Policy in a Changing World https://archive.org/[...] Aldine Publishing Company
[136] 서적 South African Armour of the Border War 1975–89 Osprey Publishing 2017-02-23
[137] 서적 Argument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Ethics, Decolonization,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8] 뉴스 Pretoria cools to US-backed talks https://www.nytimes.[...] 2017-08-07
[139]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Civil War in Angola: 1974–1990 Transaction Publishers
[140] 서적 Cuba: The International Dimension https://archive.org/[...] Transaction Publishers
[141] 서적 Wars in the Third World Since 1945 Bloomsbury Publishing Plc
[142] 서적 Death of Dignity: Angola's Civil War Pluto Press
[143] 서적 Deciding to Intervene: The Reagan Doctrine and American Foreign Policy Duke University Press
[144] 서적 Apartheid's Contras: An Inquiry into the Roots of War in Angola and Mozambique Witwatersrand University Press
[145] 웹사이트 Project Carver emerges from the shadows https://www.africand[...] African Defence Review 2016-11-14
[146] 서적 A Far-Away War: Angola, 1975–1989 Sun Media Press
[147] 서적 Isolated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8] 서적 Southern Africa: Old Treacheries and New Deceits Yale University Press
[149] 서적 My Life: A Spoken Autobiography Scribner
[150] 서적 Mobility Conquers: The Story Of 61 Mechanised Battalion Group 1978–2005 Helion & Company 2016-09
[151] 서적 Battle on the Lomba 1987: The Day a South African Armoured Battalion shattered Angola's Last Mechanized Offensive Helion and Company 2014-11-19
[152] 서적 Cross of Honour Uys Publishers
[153] 웹사이트 Clash of Armour II https://www.keymilit[...] Key Publishing 2021-09-03
[154] 서적 Bush War: The Road to Cuito Cuanavale: Soviet Soldiers' Accounts of the Angolan War Jacana Media (Pty) Ltd
[155] 뉴스 Tutu's backing for violence splits Church https://www.newspape[...] 1987-11-27
[156] 간행물 The South African Strategic and Operational Objectives in Angola, 1987–88 http://scientiamilit[...]
[157] 서적 Comrades Against Apartheid: The ANC & the South African Communist Party in Exile Indiana University Press
[158] 논문 From Soweto to Cuito Cuanavale: Cuba, the War in Angola and the end of Apartheid http://eprints.soas.[...] University of London
[159] 간행물 The South African Defence Force and Operation Hooper, Southeast Angola, December 1987 to March 1988 https://www.ajol.inf[...] Stellenbosch University
[160] 서적 The War for Africa: Twelve months that transformed a continent Ashanti Publishing
[161] 서적 A General's Story: From an Era of War and Peace Jonathan Ball Publishers
[162] 서적 Africa Since Independence Palgrave-Macmillan
[163] 서적 How Sanctions Work: Lessons from South Africa Palgrave Macmillan
[164] 간행물 South Africa's Modern Long Tom http://samilitaryhis[...] The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1992-06
[165] 웹사이트 Contested Narratives: South African and Cuban Military Action in Angola (1987–1988) http://apps.dtic.mil[...]
[166] 서적 The Buffalo Soldiers: The Story of South Africa's 32-Battalion, 1975–1993 Galago Publishing 2002
[167] 서적 Escalation and Negotiation in International Conflic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8] 서적 Back Channel to Cuba: The Hidden History of Negotiations Between Washington and Hava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69] 서적 UN peacekeeping: myth and realit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70] 서적 Beyond the Border War: New Perspectives on Southern Africa's Late-Cold War Conflicts UNISA Press
[171] 서적 Peacebuilding, Power, and Politics in Africa Ohio University Press
[172] 서적 Nine Days of War Lemur Books (Pty) Ltd
[173] 서적 Escape from Violence: Conflict and the Refugee Crisis in the Developing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4] 서적 Namibia: The Nation Afte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75] 서적 Case Studies of War-To-Peace Transition: The Demobilization and Reintegration of Ex-Combatants in Ethiopia, Namibia, and Uganda World Bank
[176] 뉴스 SWAPO Incursion into Namibia Seen as Major Blunder by Nujoma https://www.washingt[...] 1989-04-07
[177] 뉴스 Namibia Rebel Group Wins Vote, But It Falls Short of Full Control https://www.nytimes.[...] 1989-11-15
[178] 웹사이트 Bushwar Statistics https://sites.google[...]
[179] 웹사이트 Portugal Angola http://www.photius.c[...]
[180] 웹사이트 Cuba: Havana's Military Machine https://www.theatlan[...]
[181] 웹사이트 Military Chronicle of South-West Africa http://www.rhodesia.[...] Rhodesia.nl 2013-01-15
[182] 서적 Soviet Strategy in Southern Africa: Gorbachev's Pragmatic Approach Hoover Institution Press 1990
[183] 서적 Nurturing Peace: Why Peace Settlements Succeed Or Fail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1996
[184] 서적 To Be Born a Nation
[185] 서적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South Africa: A Critical Overview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Peter Lang Publishing, Incorporated 1992
[186] 서적 Flight Plan Africa: Portuguese Airpower in Counterinsurgency, 1961–1974 Helion & Company 2015
[187] 서적 To Make a World Safe for Revolution: Cuba's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88] 웹인용 Rhodesian Insurgency – Part 2 http://www.rhodesia.[...] Rhodesia.nl 2013-01-15
[189] 문서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988
[190] 간행물 SWAPO Information Bulletin 1983
[191] 서적 My Enemy's Enemy: Proxy Warfare in International Politics Sussex Academic Press 2014
[192] 문서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1988
[193] 서적 The Last Hot Battle of the Cold War: South Africa vs. Cuba in the Angolan Civil War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5-02-25
[194] 간행물 AAPSO Presidium Committee on Africa held in Algeria 1985-02-17
[195] 웹인용 Forbes Burnham and the Liberation of Southern Africa http://apnuguyana.or[...] 2015-08-01
[196] 서적 To Make a World Safe for Revolution: Cuba's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97] 간행물 Report of the United States Delegation to the 64th Conference of the Interparliamentary Union, Held at Sofia, Bulgaria, 21–30 September 1977 Interparliamentary Union Conference 1977-09-21
[198] 간행물 Record of Proceedings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6 1982
[199] 문서 Tanzania: A Political Economy 2013
[200] 문서 SWAPO and the Struggle for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Namibia 1980
[201] 서적 Nigerian Foreign Policy Under Military Rule, 1966-1999 Praeger Publishers 1997
[202] 문서 The Foreign Policy of Yugoslavia, 1973–1980 1980
[203] 문서 Yugoslavia in the 1980s 1985
[204] 문서 Namibia: The Road to Self-government 1979
[205] 서적 Koevoet! Experiencing South Africa's Deadly Bush War Helion and Company 2013
[206] 서적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UCL Press, Limited 1999
[207]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Africa ABC-CLIO 2013
[208] 서적 War and Society: The Militarisation of South Africa http://books.google.[...] New Africa Books 1989
[209] 서적 Angola: A Modern Military History Palgrave-Macmillan 2011
[210] 서적 Responding to Low-Intensity Conflict Challenges Air University Press 1991
[211] 서적 Recovery from Armed Conflict in Developing Countries: An Economic and Political Analysis Routledge Books 1999
[212] 서적 UN Peacekeeping in Action: The Namibian Experience Nova Science Publishers 1999
[213] 서적 Pale Native: Memories of a Renegade Reporter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2011
[214] 서적 Africa in World Politics: Into the 1990s Palgrave-Macmillan 1989
[215] 서적 South Africa's 'Border War': Contested Narratives and Conflicting Memories Bloomsbury Academic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